2025년04월06일sun
 
티커뉴스
뉴스홈 > 오피니언 > 정책/시장분석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등록날짜 [ 2020년04월20일 10시19분 ]



[윤정웅 칼럼]
부동산뿐만 아리라 주식을 비롯한 대부분의 투자종목들이 코로나19 장기 확산으로 불확실시대에 접어들고 있다값이 오를 것이다내릴 것이다예측도 무의미하다작년에 집값 오름세를 직접 목격했기에 지금 다소 내리는 시기에 집을 사도되는 것일까정답은 각자 자기운()이 결정할 일이다.

 

바닥에 그늘이 깔리게 되면 예측은 난무한다세계적으로 돈을 풀고 있기에 앞으로 엄청나게 돈이 쏟아질 것이고, 2-3년 후 부동산값 오를 것이다아니 바닥 경기가 워낙 나빠 5-6년 이내에 부동산값은 오르지 못할 것이다설문조사를 해봤더니 예측은 구구각각이다.

 

부동산투자는 역발상으로 하라는 말을 누구나 한다그러나 실천에 옮기기는 참 어렵다사야할 땐 돈이 없고돈이 있을 때에는 값이 맞지 않거나 매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세상 모든 일이 다 그렇지만 특히 부동산투자는 더 그렇다호주머니에 돈 떨어질 땐 왜 더 좋은 것만 보이는지?

 

그래서 부동산 값이 내려갈 때면 부동산을 사기 위해 바삐 움직이는 사람도 있지만 아직 자금마련에 이르지 못한 사람들은 마음이 급해서 안절부절 못하게 되고이러다 부동산 값이 더 오르면 어떡하나 하면서 노심초사 하게 된다.

 

집을 사려고 보면 돈이 꼭 모자라게 된다조금 모자라게 되면 괜찮은데 많이 모자라게 되면 결국 빚을 지게 되리라이렇게 저렇게 계산을 해보고 하루에도 몇 번씩 계산기를 두드리다 일단 시세나 알아보려고 중개업소도 가보고 모델하우스에도 가 보게 된다.

 

그런데 중개업소나 모델하우스를 방문해서 현장도 구경하고품질에 대해 관계인들의 설명을 듣는 건 좋지만건물생심(見物生心)이라고 꼭 그날 계약하지 않으면 놓칠 것만 같은 마음이 들게 될 때도 있다.

 

중개업소 사장님이나 모델하우스 직원들의 말을 듣다보면 사 놓으면 다 돈 벌 것처럼 들리게 되고몇 시간 후에는 매물이 없어진다는 말에 갈등이 생기게 된다집값이 올랐다 조정을 받고 있고신규분양시장이 만원을 이루는 지금 같은 시기에는 특히 계약에 조심을 해야 한다.

 

이 부동산 별로 좋지 않으니 알아서 하라는 말을 들어보신 일은 없을 것이다다 좋다고 하시겠지욕심난다 생각하고 있는데 우선 계약금으로 50만 원도 좋고, 100만 원도 좋다고 하면서 맡겨놓고 가서 생각해보라고 하면 구미가 당기게 된다.

 

안목이 높다느니좋은 물건 골랐다느니 칭찬을 듣다보면 드디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일을 저지를 수 있다지금 세상은 카드만 있어도 금방 자동인출기에서 돈을 찾을 수 있기에 100만원이나 200만원을 찾아 맡길 수 있다.

 

그런데 돈만 놓고 그냥가면 되느냐고 하면서 계약서에 이름이라도 써놓고 가라고 한다당연한 일이로구나생각되어 총액과 계약금을 나름대로 정하고 중도금은 편리할 대로 하자고 하면서 넉넉히 기간 잡아 기재하고두 달 후 잔금 치루면 된다는 내용으로 구렁이 담 넘어가듯 작성할 것 다 작성 해 버린다.

 

계약금에 대한 나머지 잔금은 내일까지 입금하라는 식으로 종결되기도 하고신규분양은 일주일 내로 인감증명과 인감도장을 가지고 와야 된다고 하면서 은근슬쩍 입주 때 프리미엄이 한 장이라느니두 장이라느니 바람 잡게 되면 자신도 그 바람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계약금을 50만 원이나 100만 원 정도만 지불하게 되면 별로 부담 없는 돈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나중에 포기해 버릴 셈치고 일단 매물을 잡아놓고 천천히 생각해 보자는 취지도 있겠지만자칫 이미 엎질러진 물이 될 수도 있다.

 

계약은 일정한 형식이 없다문서로 작성하건 구두로 하건 효력에는 지장이 없다타인을 위한 계약도 가능하고타인의 물건을 매매하는 계약도 가능하다요즘은 타인을 대리한 계약도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계약서가 작성되고 일부라도 돈이 건너갔으면 계약은 그걸로 성립이 된 것이고그 다음부터는 서로가 계약을 성실히 이행 할 의무만 남게 된다하루나 이틀이 지난 후 형편상 도저히 안 되겠다고 생각되면 없었던 계약으로 하자고 해도 계약은 이미 돌이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24시간 이내에는 해약이 가능하다는 말을 하지만그런 규정은 어디에도 없다계약서에 도장 찍고 돌아서면 해제가 불가능하고해제를 하려면 위약조건을 지켜야 한다.

 

매매대금이 1억인데 당시 계약금을 1천만 원으로 기재해놓고 100만 원만 걸었다고 가정하자계약 후 계약금 100만 원을 포기하겠다고 한다면 계약이 해제될까계약을 해제하려면 상대방의 동의를 받아야 하고일방적으로 포기를 하려면 나머지 계약금을 다 지불하고 나서 포기를 해야 하는 것이다.

 

즉 계약금을 1천만 원으로 정하였고그 중 1백만 원만 지불했다면 나머지 9백만 원을 지불해야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는 뜻이다인정머리 없다고 할 수 있겠지만계약현장에서는 그런 일이 수시로 일어나고 있기도 하다.

 

계약서에 이름만 쓰고 다음 날 계약금 나머지를 지불할 때 도장을 찍기로 했을지라도 그 계약서는 완성된 계약서라도 봐야 한다당사자의 의사가 중요한 문제이므로 도장을 찍었건 안 찍었건계약서의 효력에는 아무 지장이 없다싸인만 해도 계약의 효력에는 변동이 없게 된다.

 

결국 심심풀이로 부동산중개업소나 아파트 모델하우스에 구경 갔다가 수억 짜리 집이나토지 또는 산업용건물을 잠간사이에 계약하는 실수를 저지르게 되는데그게 실수가 될지 복이 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순간적으로 매물을 잘 잡는 일도 복불복(福不福)이라고 볼 수 있다부동산은 또 다 그렇게 마련하기도 한다.

 

우리들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과 어울려 살고 있다또 거래를 하면서 살아가기 때문에 계약 속에서 살고 있다고 봐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지금은 불확실시대다투자는 불확실시대에 하는 게 맞지만잘못하면 이익보다 손해 보는 일도 있다당신은 성공하는 일만 있기를 바란다.

 

올려 0 내려 0
온라인뉴스팀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국토교통부, 주택구입자금 대출과 전세자금 대출 금리 인하 (2020-04-22 12:45:33)
소형 아파트를 ‘경매’로 싸게 장만하는 법 (2020-04-15 07:00:03)